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미세먼지

(2)
공공데이터API(미세먼지) 활용하여 웹을 만들어보자②(react,node.js) 이제 서버페이지에서 공공데이터와 연결해보자 나의 서버페이지의 경로는 요래생겼다 왜이렇게했는지는 모른다 걍 익숙하다. body-parser, cors, express 모듈을 사용했다.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//익스프레스 모듈 가져오기 const app = express(); const cors = require('cors'); //cors를 사용하고 싶다 const bodyParser = require('body-parser'); //body-parser을 사용하고 싶다 const port =5000; //서버포트는 5000번 포트 const route = require('./routes/index'); //router가 있는 곳이다 만들 index.js다 app..
공공데이터API(미세먼지) 활용하여 웹을 만들어보자①(react,node.js) 소프트웨어 공학 수업 과제이다. 상대방의 요구사항 제안서를 살펴보자 custumer가 요구하는 usecase이다 . 지역선택 후 -> 그 지역의 미세먼지 검색과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상황, 생활기상지수를 조회 할 수 있어야한다. 다음은 custumer의 기능적/비기능적/도메인 요구사항이다. 잘 참고하자 . 1) 기능적 요구사항 - 현재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수치를 출력한다. - 현재 생활기상정보를 출력한다. - 현재 주의보 발령 상황을 출력한다. 2) 비기능적 요구사항 - 전국 도 별 정보를 알려 준다. - 지수를 알려주되 좋고, 나쁨의 기준은 WHO에서 권고하는 기준을 따른다. - 미세먼지의 농도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. 3) 도메인 요구사항 - 한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. - 웹에서 사용이 가..

반응형